본문 바로가기
조금 이상한 영어/어원이야기

tail 어원이야기(curtail, detail, entail, intaglio, retail)

by 0487 2023. 1. 5.

자르고 깎아서 떼어내는 tail

 

tail 은 자르는 것을 뜻하는 중세 영어 taillen 에서 주로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고, 재단사와 석공을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인 tailler,  꼬리가 달린 말을 뜻하는 tail 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자르는 것을 뜻하는 어원을 가진 tail 은 tailor 단어의 기원이 되었고, tailor 는 옛부터 자르거나 떼내는 행위를 뜻하거나 자르거나 떼내는 일을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현대에 와서는 tailor 는 원단을 잘라서 양복을 만드는 재단사 라는 뜻과 상황에 맞게 잘라서 맞추는 조절하다의 뜻이 있다.

 

꼬리를 뜻하는 어원을 가진 tail 은 동물의 꼬리만을 뜻하던 단어가 현대로 넘어오면서 동전의 뒷면, 사람의 엉덩이(뒷면), 여성의 외음부, 성적 대상으로서의 여성, 매춘행위 등의 뜻으로 확장되어 왔다.

 

크게 보면 tail 은 두가지의 어원을 가진 것을 알 수 있고, 어원 간에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조금의 상상력을 가미해서 연결고리를 만든다면 아주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고대 프랑스어의 tailler 는 재단사와 석공을 뜻하는 단어 였다고 했다.

 

재단사와 석공은 주로 자르거나 깎아서 떼어내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통상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들이 옷을 만들거나 조각할 때 겁없이 가위나 망치를 들고 몇 등분을 내놓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단 재료 자체가 비싼 것도 있고, 정교하게 겉에서부터 조금씩 자르거나 깎아가면서 형태를 만들어야 더 설계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유독 돌출되고 중요도가 떨어지는 부분을 잘라내거나 깎아서 떼어내면서 작업을 한다.

 

tail 이 자르는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아마 처음에는 작업하는 행위 자체를 뜻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사람들이 작업 도중 잘려나가거나 깎여서 떨어져 나간부분을 잘려나간 것이라고 지칭하면서

나중에는 두 단어가 같은 형태로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동물학적인 관점은 잘 모르겠지만 꼬리는 용도가 불분명하고 돌출되어 있으며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작업재료에서 돌출되고 중요하지 못해 떨어져 나간 부분을 지칭하던 말을 꼬리를 지칭하는 말로 가져와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해본다.

 

그리고 해당 글에서 tail 의 해석은 잘라서 떼어버리다 라고 해석을 할 생각이다.



tail 을 접미사로 갖는 단어들

 

 

curtail

 

curtail 은 자르는 것을 의미하는 접두사 cur- 과 tail 의 합성어이다.

 

사전적 의미는 삭감시키다, 감축시키다 이며, 표면적 의미는 자르고 잘라서 떼어버리다 가 된다.

 

접두사와 접미사가 비슷한 의미를 지녀서 결국은 잘라 떼어버린다는 뜻으로 종합이 된다.

 

삭감은 금액을 줄이는 것이고, 감축은 수량이나 수치를 줄이는 것이다.

 

즉 전체적인 금액을 잘라서 떼어버리면서 삭감을 하고, 수량이나 수치를 잘라서 떼어버리면서 감축을 한다.

 

 

detail

 

detail 은 접두사 de- 와 tail 의 조합으로, 세부사항, 상세히 알리다의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쓰인 접두사  de- 는 아래로를 뜻하는데 여기서 의미를 확장해서 위에서 시작해 아래로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를 완전히 다 움직인 것이기 때문에 완전히 라는 뜻이 도출된다.

 

그러면 완전히 잘라서 떼어버리다 라는 표면적 의미가 나오는데, 하나의 덩어리를 완전히 분할하거나 조각내는 모습을 생각하면 된다.

 

그런 분할되거나 조각난 것들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는 세부적인 덩어리가 되고, 세부사항이 된다.

 

그리고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말하게 되면 상세히 알리는 것이 된다.

 

 

entail

 

entail 은 en- 접두사와 tail 의 조합이고 사전적 의미는 수반하다, 따르다 이다.

 

여기서 접두사 en- 은 안에, 안으로의 뜻을 가진 in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는 make 의 뜻으로 쓰인다.

 

안에, 안으로의 뜻이 어떻게 만들다의 뜻으로 확장이 될까?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를 안으로 투입해야 한다. 그 재료는 유형의 것일 수도 있고 무형의 것일 수도 있다.

 

재료가 안으로 향하는 성질때문에 만들다라는 뜻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표면적 의미가 잘라서 떼어버리게 만든다 가 된다.

 

이제 표면적 의미와 사전적 의미를 연결 해보자.

 

옛 유럽에서는 상속같은 일에 대해서 법적인 제한을 뒀다고 한다.

 

상속받을 사람에게 소유권을 인정해주고 타인이 함부로 재산을 처분하지 못하도록 상속권을 주는 것이다.

그런데 그 상속이라는 것은 세금을 내야한다.

 

세금을 내지 않으면 상속권을 얻지 못한다는 소리이고, 세금은 상속될 것의 일부를 떼어낸 것이다.

 

즉 자신이 물려받을 것의 일부를 잘라서 떼어버리게 만드는 것은 상속권 때문이다.

 

상속은 세금을 수반하고, 세금이 따른다.

 

 

intaglio

 

intaglio 는 안을 뜻하는 접두사 in- 과 tail 의 변형인 taglio 가 합쳐졌다.

 

사전적 의미는 음각 이라는 뜻인데, 안을 잘라서 떼어버리다 라는 표면적 의미와는 설명할 필요도 없이 찰떡이다.

 

음각은 안쪽을 파냄으로서 조각을 하는 기법이다. 

 

 

retail

 

retail 은 뒤를 의미하는 접두사 re- 와 tail 의 조합이다.

 

사전적 의미는 소매, 소매하다 이고, 표면적 의미는 뒤를 잘라서 떼어버리다 가 된다.

 

뒤를 잘라서 떼어버리는 행위는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행위로 봐도 된다.

 

즉 도매로 크게 팔다가 사이즈를 줄여 소매로 파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