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본질은 [몸으로 말해요] 게임이다.
우리가 흔히 예능 프로에서 많이 보는 게임중에 [몸으로 말해요] 라는 게 있다.
[몸으로 말해요]는 말을 하면 안되고 사전 설명없이 오로지 행동만으로 설명하여 정답을 맞춰야 한다.
손가락으로 지칭하거나 “이건 사물이야” 또는 “이건 행동이야”를 먼저 바디랭귀지를 통해 알려주고 움직임으로 힌트를 준다.
사실 언어의 기원을 보면 사물에 대한 지칭으로 의사소통을 시작해서 그 사물을 문자로 만들고, 그 문자를 붙여 말을 만들어 냈다.
그래서 사물을 중심으로 말을 확장해가고 사물의 상호작용을 설명한 것이 언어다.
인간의 지능이 고도화되면서 추상적인 개념의 상호작용과 지칭해야 할 사물이 많이지면서 문법이라는 것이 생겨나고 관습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그 관습에 사회성이라는 것이 곁들어져서 조금 더 완곡하고, 조금 더 위트있게 바뀌었다.
명사는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것
극초기에 상호 작용가능한 것을 지칭한 것을 생각해보면 눈에 확실히 보이고 만져지기도 하는 것이 였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람, 동물, 식물, 물, 바람 등과 상호작용을 했을 것이다.
그래서 명사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이 속성이다.
그리고 어떤 명사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정관사나 부정관사 같은 첨가물들이 중요하다.
명사를 설명 해야하는데 같은 사람이라도 사람마다 다 다르고, 사물이라도 사물마다 소유권이나 어느 시점의 사물인지 구분을 해야한다.
그 때 구분 가능한 유일한 수단이 정관사나 부정관사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I like dog, I like dogs, I like a dog, I like the dog 만 해도 뜻이 완전 달라진다.
개고기를 좋아할 수도, 단순히 개를 좋아할 수도, 한마리의 개를 좋아할 수도, 그 개를 좋아할 수도 있다.
동사는 상호작용이다.
동사의 뜻을보면 움직이는 말 이라는 뜻이있고, 영어 verb는 어원이 말하다 다.
한자어는 후에 아시아에서 정의한 것으로 결론을 낸다면 verb에 원래 의미가 있는 것이다.
단순히 짧은 명사만을 말하다가 그 명사의 상호작용 하는 형태를 묘사하기 시작하면서 완전한 말하기가 된 것이다.
말하기의 기본인 명사와 명사의 상호작용 묘사, 즉 명사와 동사의 결합을 기반으로 하고,
더 의미를 확장하기 위해 다른 명사를 이어붙이고 상태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이어붙인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명사는 전치사를 이용해서 떨어뜨려 놓는다.
명사+동사는 아기가 말하는 첫번째 문장이다
원시인들이 처음 언어를 시작했을 때 무언가를 지칭하는 짧은 명사를 내뱉는 것이 먼저였다.
이처럼 아기도 처음 언어를 시작할 때 아빠, 엄마, 맘마 등의 짧은 명사를 먼저 내뱉는다.
그리고 조금 더 자라나면 가자, 있어, 했어, 안돼, 몰라, 아파 등의 단순한 동사와 결합을 한다.
아기는 아직 지능이 높지않고 알고있는 단어도 매우 적다.
따라서 자신의 주변에 가장 가까운 사람들을 중심으로 행동을 받아들인다.
가족들의 행동을 먼저 말하면서, 단어를 많이 알고있지 않고, 상황에 대한 인식을 할 지능도 안됨으로 아주 담백하게 [누가 뭐한다.] 정도로만 표현하게 된다.
말그대로 눈에 보이는 것만 표현할 수 있는 것이고, 감정이나 다른사람 또는 다른물건 따위는 고려대상이 아닌 것이다.
우리가 1형식을 공부할 때 S+V 구조이고, 자동사를 사용하고, 자동사는 목적어를 가지지 않고 등의 교육을 받아왔는데, 인간의 성장과정과 인류의 성장과정에 대입하여 본다면 그런 정의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물건을 지칭하는 단어도 많이 모르고 오로지 나의 가족과 단순한 행동만을 말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눈에 보이는 아빠·엄마의 움직임 정도가 표현의 최대폭 이였을 것이다.
엄마·아빠가 자세하게 뭘하는지를 모르겠으니 그 행동의 의미가 무엇인지, 어떤 것을 주고 받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주어와 동사만 나오고 그 뒤에 향하는 방향(눈에보이니까)정도가 나오는 것이다.
조금 진부한 표현을 빌리자면, 목적어나 보어가 필요없는 완전 자동사 문장이 아기들 말하기의 시작이다.
'조금 이상한 영어 > 문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에 자주 나오는 전치사 of, in 숙어 어구 모음 (0) | 2023.06.14 |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전치사 with, for 숙어 어구 모음 (0) | 2023.06.13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전치사 to 숙어 어구 모음 (0) | 2023.06.12 |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TO부정사 어구 모음 (0) | 2023.06.12 |
이상한 영문법 이야기 1화 -아기가 말하듯이- (0) | 2023.01.20 |
댓글